통권 |
발행년 |
목차 |
제19호 |
2023 |
■일반논문
최근 공화국에서 새로 채택 및 수정보충된 주요 경제관계법들의 내용에 대하여 /김신호
1950년대 조선 농민소설의 비적대적 갈등 구조와 그 의미 −천세봉의 장편소설 『석개울의 새봄』을 중심으로− /金英姬·李善
우리 나라에서 농촌문제해결에 큰 힘을 넣고있는데 대하여 /김웅호
개성시 해선리에서 새로 발굴된 명릉동벽화무덤에 대하여 /김인철
조선봉건왕조시기 김치에 대한 문헌적연구 /김지원
17세기이후 중세단편소설에서 새로운 성격형상의 탐구 /김진국
The Influence of the Non-Church Movement Found in Japanese Citizens’ Support for Korean A-bomb Victims /Yuko Takahashi
스테이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수업의 효과 연구 −일본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− /柳美善
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에 있어 조선어 사전 편찬의 역사적 변천을 수반한 타이포그래피의 변화(1945-2007) /劉賢国
지명 「비서갑」을 통하여 본 고조선과 고구려, 고려의 력사적호상관계에 대하여 /리성호
조선글자의 형태음운론적처리에 대하여 /리승길
「검무」(1934)로 보는 최승희 무용의 ‘전통성’ /朴景蘭
그룹 워크를 이용한 발음 학습효과에 대한 고찰 −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− /朴恩珠
The Succession of Ethnic Dance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:Focusing on the Case of the Joseon School /Suh Hee Young
민족의 성지 백두산을 노래한 해방전시문학에 대하여 /심경섭
원효사상의 거시적 접근과 현대적 의미 /이병욱
하브루타 기법을 활용한 소설 텍스트 읽기 교육 지도안 /易超·裴允卿
한국어 조사의 품사성에 대한 고찰 /全永根·黃文偉
최근 평양시 대성구역에서 새로 발굴된 /림흥동
1호우물유적에 대하여 /정봉찬
일본 법륭사에 전해오는 옥충주자의 국적에 대하여 /조희승
18세기의 책판목록 『루판고』 /탁룡범
고려후반기 고구려사연구와 제한성 /허명철
중국 연변조선어 어간말 비음 ‘ŋ’의 탈락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고찰 /許秦
■제15차 코리아학국제학술토론회 심포지엄
「재일코리안 표상의 변천」 /姜民護
‘총련계’재일조선인표상의 정치학 /金泰植
심포지엄 「재일코리안 표상의 변천」에 대한 토론문 /岡﨑享子
|
제18호
|
2020 |
■심포지엄『조선/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의 모색과 전망』
들어가는 말: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과 남북통일 /徐正根 기로에 선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 /고유환 조선반도평화체제구축과 동아시아질서 /金景一 남북 간의 교류협력의 법적 기반에 관하여 /백태웅 조선반도평화보장체제수립에 대하여 /심승건
■일반논문 ‘6·25전쟁’ 중에 보인 한국 ‘국민’의 재정의 −‘국민보도연맹사건’을 중심으로− /高旻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요청 이메일의 분석 −추천서를 부탁하는 경우를 중심으로− /小島大輝 『駱舵祥子』 한역(韩译)본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 번역 연구 −관련성 이론을 바탕으로− /高紅姬·杨淇淇 우리 인민의 식생활발전에서 민족발효음식이 논 역할에 대하여 /공명성 지눌의 『수심결(修心訣)』에 나타난 ‘마음 닦음’과 그 현대적 의의 −남과 북의 『수심결』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− /김방룡 군위 인각사의 역사와 고고학적 발굴성과 /김선 다시 본 미추홀 역사 /김영덕 조선어와 영어의 부정에 대한 대조언어학적연구 /김영윤 천세봉의 장편소설 『석개울의 새봄』의 적대적 갈등 양상 연구 /全永根·金英姬·易超 저소득 조손가족 조부모의 정체감 재구성 /김혜경 파스파문자로 된 蒙古字韻의 字母韻과 四聲通解의 蒙韻音 대조 /Rainer Dormels 동학은 조선민족고유의 진보적사상유산 /로학희 조선어 서체의 원형과 원류(1909-2019)−청봉체, 천리마체, 명조체, 맺힘체의 기본 서체를 중심으로− /劉賢国 의사담당구역제를 통해 본 조선의 보건제도 /리성환 우리 나라 고문서의 류형과 고문서목록작성에서 나서는 문제 /리철 대외경제협력을 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수경제지대 법률적환경에 대하여 /리경철 각 지방 ≪아리랑≫의 형상적특징에 대하여 /리영호 3·1인민봉기와 그 력사적교훈에 대하여 /리종익 김책제철련합기업소에서의 주체철생산공정확립에 대하여 /박성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한국어 발음 학습−일본인 학습자의 철자오류 ‘ㄴ, ㅁ, ㅇ’을 중심으로− /朴恩珠 과학기술분야의 외래어규범화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/방정호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양상 연구−북경대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− /부가준 신체화되는 아이덴티티−조선학교의 조선무용에 관한 고찰− /宋基燦 총련 기관지에 나타나는 북한문학의 양상 −1953년도 『해방신문』을 중심으로− /呉恩英 민족수난기 조선동요에 비낀 민족심리와 정서 /우광영 공자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현대적 이해 /이병욱 한국어 에크리튀르의 사적 고찰 /李承子 조선에서의 국가건설경험 /전하철 재일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결정요인−인구사회학적 특성, 일본어능력,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− /趙衡範 복식을 통해본 조선의 민족적 정통성 /조희승 대동강류역에서 첫 고대국가 고조선성립의사회력사적전제에 대하여 /지화산 역사의식을 통한 문학 교육−이범선의 단편 소설 「오발탄」 중심으로− /Medine Pala 세계 여러 나라들의 교육발전동향과 ≪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≫ /허광섭 시대와 운명을 같이 한 한국 최초의 의사 김익남 /황상익
|
제17호
|
2018 |
■심포지움『아리랑 -상실과 재생』 들어가는 말 /宋南先 중국 조선족 사회의 『아리랑』 이미지 지도 /姜寶有 본조아리랑의 유래에 대한 고찰 /공명성 ‘아리랑’의 사회적 구축에 대하여 /森 類臣 Politics of Arirang: Tripartite Function and the Social Dynamics of a Korean Folksong in South Korea, North Korea and the China /Byong Won Lee 아리랑의 전통성과 근대성 /이용식 나가는 말 /森 類臣
■일반논문 해방시단의 불꽃, ‘전위시인’들의 창작과 그 후일담 /고철훈 중한 부정형 목적관계 접속문에 대한 일고찰 -통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/高紅姬 국어 통사 변화의 여러 양상 /권재일 『몽어류해』를 통한 18세기 조선어와 몽골어의 관계 고찰 /金光洙 왜땅에 있었던 백제의 세 다무로 /김영덕 중국의 조선어규범화사업에 대한 고찰과 소견 /金永寿 현진건의 『타락자』와 다야마 가다이(田山花袋)의 『이불(蒲團)』 비교 연구 /金英姬 김학철(金學鉄), 그 생애와 문학 /大村 益夫 조정래의 장편소설 『정글만리』에 나타난 자아 이미지 /朴铃一 Analysis of Errors Made by German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-Subject to Case and Postposition that Indicate a Place /Eun Joo Park 과학기술분야의 학술용어규범화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-외래어를 중심으로 /서광웅 실증 분석에 입각한 언어 간섭에 대한 고찰 -한중 번역을 위주로 /申泉, 김미연 Mutual-Aiding Culture of Korean Immigrants in Hawaii: 1904-1960 / Duk Hee Lee 묵자 사상의 현대적 이해 -한국사회의 상황과 관련해서 /이병욱 금강산 玉流洞 巖刻文에 대한 일고찰 -조선시대 지식인들의 題名文化를 겸하여 /林侑毅 한국어 문법단위 ‘구’와 ‘절’에 대하여 /全永根, 李善 1910년-1920년대 일제의 식민지정책과 중국동북지방에로의 이주 /정웅철 파스파 문자의 喩母와 훈민정음의 欲母 -왜 한글에서는 모음자에 /ㅇ/를 붙여 쓰는가? /정광 한국대학생의 나눔경험이 향후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/趙衡範 일제가 조작한 『인구정책확립요강』의 반동적 본질에 대하여 /조희승 한국 효사상과 문화문법 고찰 /최태호, 이대현 실증 분석에 입각한 언어 간섭에 대한 고찰 -한중 번역을 위주로 /申泉, 김미연 Mutual-Aiding Culture of Korean Immigrants in Hawaii: 1904-1960 /Duk Hee Lee 묵자 사상의 현대적 이해 -한국사회의 상황과 관련해서 /이병욱 금강산 玉流洞 巖刻文에 대한 일고찰 -조선시대 지식인들의 題名文化를 겸하여 /林侑毅 한국어 문법단위 ‘구’와 ‘절’에 대하여 /全永根, 李善 1910년-1920년대 일제의 식민지정책과 중국동북지방에로의 이주 /정웅철 파스파 문자의 喩母와 훈민정음의 欲母 -왜 한글에서는 모음자에 /ㅇ/를 붙여 쓰는가? /정광 한국대학생의 나눔경험이 향후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/趙衡範 일제가 조작한 『인구정책확립요강』의 반동적 본질에 대하여/조희승 한국 효사상과 문화문법 고찰 /최태호, 이대현
|
제16호
|
2016 |
향한 사회 문화 교류의 과제 / 이배용 『민족유산보호법』 제정에 즈음하여 / 리혜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세시풍속의 계승발전에 대하여 / 공명성 『론어언해』와 16세기 유경언해의 언어적특성 고찰 / 김광수 『번역로걸대』와 『로걸대언해』의 비교연구 / 김영수 말줄기와 토결합표기의 력사적 변천에 대하여 / 문영호 조선시대 유해류 역학서의 어휘 배열 순서 −친족 명칭 어휘를 중심으로− / 연규동 접촉언어학의 시점에서 본 중국 조선족의 언어사용 실태와 전망 / 장흥권 동시통역의 분류와 신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/ 홍성일·황춘화 On Subject Omission in Japanese and Korean −Declarative Sentences and Adversative Passive Sentences− / Eunjoo Park The Languages of Korea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/ Nam Sun Song 한부모가족 지원체계의 구축에 대한 고찰 −이용서비스지원기관을 중심으로− / 강민호 한국과 대만 다문화가족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아내학대의 관련성 −국제결혼중개업자를 통해 형성된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− / 박지선·윤정수·김정숙·엄기욱·나카지마 가즈오 한국 ‘기지촌’, 이민자 2세 아이들의 언어생활 / 정육자 한국 노인돌봄기본서비스에 대한 발전방안 모색 / 정희성 한국문화와 효의 현대적 의미 변용 연구 −효의 현대적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− / 최태호 이광수의 『무정』과 타고르의 『고라』에 나타난 탈식민성 비교 연구 / 칸 앞잘 아흐메드 김달수와 문학운동 −리얼리즘연구회를 중심으로− / 히로세 요이치 Modern Places, Modern Minds −Functions of Narrative Space in Yi Gwangsu’s Novels−/ Lyudmila Atanasova 21세기 한민족(한겨레, 조선동포)공동체 형성과 민족정체성 회복을 위한 한국철학의 과제 / 김방룡 한국전통사상 속에 나타난 관용의 정신 / 이병욱 Suffering, Evil, and the Emotions −A Joseon Debate between Neo-Confucianism and Buddhism−/ Eric Nelson 해양명칭 논쟁의 본질과 해법 모색 −한국의 동해 명칭을 사례로− / 이상균 한국의 재외동포 포용정책과 탈영토화 −초국가주의의 ‘도전’에 직면한 민족국가의 ‘응전’− / 송창주 조선봉건왕조실록번역의 학술적 기초 / 송현원 The Significance of the Sillok in the Western World −Past, Present, and Future− / Milan Hejtmanek 새로 조사발굴된 고구려 평양성 일대의 성곽 유적들에 대하여 / 손수호 전후복구기 보건의료분야 재건에서 외국 원조의 성과와 영향 −미네소타 프로젝트와 국립의료원− / 황상익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노래 ‘아리랑’의 곡명과 곡수에 대한 연구 / 공명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특수경제지대의 창설과 개발실태 / 김철준
|
제15호
|
2014 |
■기조강연 The Important Role of Korea in the Pre-modern History of East Asia / Donald Baker 중국 조선족 문학과 조선반도 문학- 최홍일의 경우 / 서영빈 보건의료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조선민중들의 삶 −식민지 근대화론의 허와 실− / 황상익 민족악기 거문고의 시원과 연혁에 대한 연구 / 공명성
■일반논문 한·중 의성어의 피수식어(被修飾語) 공기현상 연구 −물건이 부딪치는 의성어를 중심으로− / 김용군 대규모 신문 자료에 나타난 어휘 변화의 추이 −’가족’을 중심으로− / 김일환 조선 삼국시대의 언어접촉과 언어겸용에 대한 접촉언어학적 연구 −고대 코리아민족승려들의 언어겸용을 중심으로− / 장흥권 Vowel Harmony in the Middle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s −Focused on the vowel letters of the Hunmin-jeongeum and Phags-pa Script- / Kwang Chung 조선어 기능문법서술의 원칙적 방향 / 정순기 불교와 고시조작품과의 관계연구 / 김진걸 한국의 「만세전」과 인도의 「이것이 바로 나의 모국이다」에서 나타난 시대 상황 비교 연구 / 칸 앞잘 아흐메드 「熱河日記」를 통해 본 淸朝의 文化政策 / 陳冰冰 신소설에 나타난 중국 및 중국인 이미지 연구 −「혈의 누」, 「추월색」, 「월하가인」을 중심으로− / 최유학 최근에 발굴한 발해시기 유적에 대하여 / 주광일 대만과 조선의 종두정책을 통해 본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 / 최규진 일제강점기 성병에 대한 의료적 실천: 치료와 예방, 담론을 중심으로 / 최은경 평양 ‘기린굴’을 통해 본 고려사람들의 고구려계승인식 / 황명철 동아시아 3개국 맞벌이 부부의 일-가족 갈등과 정신적 건강의 관련성 / 박지선,오카베 가즈미츠,코야마 요시노리,나카지마 가즈오 한·중·일 재가 노인의 기능적·구조적 통합성과 건강관련QOL의 관계 / 이지희,나카시마 노조미,미카네 사카에,후토유 요시코 중국 조선족 한부모가정아동(留守兒童) 현황 조사와 분석 / 최영금 Remaining in Transition: the case study of Kŭmgangsan kagŭktan, Korean professional artistic troupe in the North Korean community in Japan / Ae Ran Jeong 기단을 통하여 본 조선전통살림집의 우수성에 대하여 / 현준일 화해와 상생원리로 본 중도론 −정산 송규의 「건국론」을 중심으로− / 김영두 동학의 인간평등사상 / 전하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시의 광공업인프라 연구 / Rainer Dormels
|
제14호
|
2012 |
■기조강연 민족주의와 재일교포 /송남선 주체성과 민족성이 철저히 구현된 평양민속공원 /김정영 소품문 정신의 비판적 계승과 동양 미학의 시각 -운오영에 대한 중국문학의 영향- /서영빈 남북 역사인식의 수렴· 공존 가능성과 역사학(자) 교류의 전망 /정태헌
■일반논문 <예맥> 관계기록을 통해본 고구려주민의 조선 민족적 성격 /강세권 제중원(濟衆院)의 신화와 역사 (2) /황상익 “먹다”와 “吃”의 어휘 정보 대조 연구 /김성란 18세기朝鮮 漢字音의 規範化와 ㄷ-구개음화 /Rainer Dormels 대용량 언어자료기지를 구축하는 것은 언어 정보과학 앞에 나선 주요과제/문영호 형태의 발달과 술어의 위치에 대하여—언어의 유형적 측면으로부터 고찰— /태평무 『오래된 정원』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 인식 /김춘선 灾难片에 대한 거시학적 연구-한, 중, 일, 미의 경우를 중심으로- /임향란 윤선도의 시조창작과 개성적 면모 /전인철 여성 한부모가족의 아동지원 문제점 /백승국 The Construction of ‘Safe House’ and Social Imaginary through Korean Popular Culture; the Cas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Canada /신지원 재가노인의 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건강생활습관의 지속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/이지희, 나카지마노조미, 후토유요시코, 나카지마카즈오 결혼이민여성의 결혼생활 커미트먼트와 가족형성지속의사의 관계 /정영조, 박지선 김정숙, 윤정수, 나카지마카즈오 지방정부의 시민 거버넌스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-한국과 일본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- /홍만표·Takafumi Kanemura 리산 경제무역지대는 동북아시아지역 경제협력의 기본 거점 /리기성 The Rapid Emergence of Korea’s Global Auto Industry /Norman Thorpe The Interaction of the US-ROK Security Alliance Relation: Period of the Second Vietnam War (1964-1967) /송기영 Evolving aesthetics of Kumgangsan Gagukdan (금강산가극단) :Korean professional arts troupe in the North Korean community in Japan /정애란 한(조선)반도 통일철학과 융철학 /김희성
|
제13호
|
2009 |
이조시기 시조창작과 도교사상의 영향 /김진걸 박태원의 개작소설 『홍길동전』과 그의 번역소설 『수호전』의 연관성 /최유학 해방 전 재중 유이민소설에서 본 인신매매의 의미 /남춘애 유치환의 시와 만주체험 /장춘식 20세기 한국문학에 나타난 상해의 이미지 /김동훈, 한정숙 우리말 종성의 표기상 위치에 대하여 /최호철 우리 겨례의 고대글자사용시기와 분포지역에 대한 사료적고찰 /안경상 한중 언어 문화-인지구조 비교로부터 본 한국어문화 교육 방법 연구 /강보유 접촉언어학으로 본 동북아시아 세 민족언어의 혼종어/장흥권 중재협력을 통한 남북한중국 3국간의 상사분쟁 해결촉진 방안 /김상호 《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중재법》의 기본내용과 특징 /홍철화 새로운 혁명적대고조로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나가고 있는 조선경제 /리기성 Perspectives and Obstacles of Russia – Republic of Korea FTA Conclusion / Denis V. Suslov 한국 사회의 저 출산 문제와 가족복지정책/나병균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/박지선, 곤도리에, 진세, 나카지마 카즈오 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의의와 과제 – 일본의 경험을 통하여 – /전광현 서흥 탈놀이에 대한 고찰 /리영호 중국 조선족 전통유희의 력사적 변천과 그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연구 /최영금 Dokseong, Naban jonja or Pindola? The mysterious Buddhist hermit in Korea’s monasteries /Beatrix Mecsi 《발해삼채》도기에 반영된 고구려적성격 /김경삼 민족의 귀중한 문화유산《비변사등록》의 사료적가치 /송현원 Reorienting the Book Market in Colonial Korea:Private Publishing Companies after 1919 /Sang-ho Ro 재일동포사회와 한국 4.19혁명-한국민단계 학생청년운동을 중심으로 /정아영 동해표기와 일본 식민주의 /Rainer Dormels
|
제12호
|
2008 |
그래도 ‘이다’는 기능동사이다 /목정수 최근 우리 언어학계가 관심하고 있는 언어 연구방향과 이룩한 성과 /문영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에 관한 연구 /하동매 The Honorifics System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/Lucien Brown On the importance of animacy and agency effects in the Korean diathesis system /Stefan Lorenz Knoob 외국문화의 영향과 서정소설 /김경선 한(조선)반도의 재래설화와 중국조선족 구전설화의 전파관계 연구 /김동훈 “만주” 이주민 소설의 공간연구 –조선, 한국, 중국 조선족의 작품 비교를 중심으로 /서영빈 The Rol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the Formation of Korean Literature Studies : The Case of Kuunmong Studies /Yu, Myoung-In 韓中日3국 학계의『朝鮮策略』연구현황 및『朝鮮策略』여러 異本의 考證과 校勘 /權赫秀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in Sokpulsa in Korea and Ajanta in india /Santosh K. gupta Meaningful Commodities – Mirrors, merchandise and market policies in the Koryo period /Charlotte Horlyck 함석헌: 군사주의・국가주의를 극복해 나가는 길 /박노자 일본 총련계 민족학교의 민족어교육에 대해 – 우리말 교육의 성과와 규범의식을 중심으로 /김미선 한국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 경험의 특성 –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가치와 태도를 중심으로 /최옥채 Domestic Violence Interventions in South Korea /Hong, Jun-Sung “I am a Kirogi mother” Globalization, Familism,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n Immigrant women・/Lee, Hak-Yoon 북일 무역의 현황과 일본의 대북 경제제재 조치 /배광웅 Sunshine Policy, Inter-korean Relations and issue of Korean Identity /Sandip Kumar Mishra
|
제11호
|
2007 |
중국조선족의 한국이동에 관한 요인분석 /김금연 “N+하나”와“하나+N”에 대하여 –조사 [의]의 의미 기능을 검토한다 /김금화 다언어경관으로 본 재일 코리언의 언어생활 /김미선 우리 민족의 화해와 단합을 위한 이산가족 정책 /김병로 일제의 조선경제지배와 략탈 /김재서 민족고전을 민족의 재보로 빛내인 자랑찬 로정/김정영 한민족 경제공동체 구성에 관한 연구 –남북 FTA(자유무역협정)에 의한 경제통합 추진을 중심으로- /김중배 20세기 5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본 대미의식 /김춘선 학술용어의 사정과 사용에서 통일성 보장문제 /리근용 조선민주주의공화국에서의 일생교육과 그 전망 /리영복 전문용어 표준화와 어문규정 상이문제 극복방안 /리의재 《겨레말큰사전》북남공동편찬과 민족어의 통일적발전 /문영호 조선고대유물론의 기본범주인 《기》에 대하여 /변정암 일본어 ‘naru’와의 비교에서 본 동사 ‘되다’ 의 의미 /송남선 ‘-더니’ 와 ’-었더니’ /송재목
|
제10호
|
2005 |
한국 고전서사 문학에 나타난 주인공의 신이한 탄생 –영웅군담소설을 중심으로- /임치균 하이퍼텍스트 -새로운 예술의 패러다임- /김병선 현진건의 력사소설에 대한 간단한 고찰 /한중모 시조의 명칭과 시학적특징에 대한 고찰 /박길남 백운거사 리규보와 서사시 《 동명왕편 》/정흥교 삼국시기~10세기초 조선어발전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 /최정후 조선어의 민족성을 지키고 빛내이기 위한 국어사정위원회의 활동에 대하여 /심병호 17~19세기 조선말의 모음조화변화에 대한 고찰 /김인호 Progressives in Korean, Japanese and Mongolian /송남선, 송재목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피동문의 특성과 한국어 /연재훈
|
제9호
|
2003 |
공화국대외경제관계법들의 구성체계와 특성/ 안효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투자보호제도에 대하여/ 강정남 공화국특수경제지대법규의 주요내용에 대하여/ 문철만 20세기 서울경제 100년의 전개과정 -인구와 산업별 변화를 중심으로-/ 유광호 美軍政期 敎育財政의 實態/ 이길상 한국의 FTA정책/ 고용수 경제위기 이후 한국 금융노동에 있어서의 Dualism의 심화 -은행업의 사례를 중심으로-/ 박창명 조선에 있어서의 인견직물업의 전개와 일본제국경제권/ 福岡 正章
|
제8호
|
2002 |
<고려>명칭의력사적유래와의미/공명성 학계의이목을끌고있는태성리3호고구려벽화고분/김인철 민족수난기대중가요(류행가)에어린정서세계-가사를중심으로/류만 <비변사등록>의사료적가치와그의번역에서견지한몇가지원칙/송현원 최한기의철학사상/정성철 교착어접사의이른바<단의성>을론함/정순기 조선식한문의특성고찰/최동언 통감부임시간도파출소시기의『보조서당』의유무에관한연구/朴龍玉 A Study of South Korean Investment in the Philippines/久津美香奈子
|
제7호
|
2001 |
韓國語의 結果상태相/韓東完 남북 각 방언 초분절소(운소)의 비교 연구 -15-16세기어와 관련하여-/김영만 韓國語의 語源 몇 가지 -알타이 諸語의 語源을 比較하며-/林敬淳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East Asian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: A Korea Case/Kim Jung-Bae 남북한 상사 중재 협력의 과제/김상호 새로운 세계질서를 위한 보편적 세계윤리의 대두/박주응 국제연합(UN)의 안보 인식과 정책/유철종/송기돈 洪大容의 類推說과 實證說 -朱子說과의 비교를 중심으로/姜春華 봉산탈춤 사자마당의 재검토: 권선징악적 사자인가, 탈춤화한 사자인가?/김인희 현재성의 내방가사/이정옥 한국사회에서의 대학진학 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시계열 분석/有田 伸 재일조선인의 아이덴티티에 대하여/윤건차
|
제6호
|
2000 |
花潭과 張載思想의 비교연구/張敏 한국기업의 corporate governance와 재벌의 구조개혁 -현대그룹의 개혁계획을 중심으로-/高龍秀 The Contex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Korea Byungwon Lim/Jungsoo Yoon 말기 환자의 물음/金英一
|
제5호
|
1999 |
어떻게 해서 1950년 한국전에 중국의용군의 개입이 이루어 졌는가/A.V.Vorontsov 한일 전통희극 ‘탈춤’과 교겡’의 비교 연구 -연극적 특성과 풍자성을 중심으로-/장기권 The problem of “pro-Japanese collaboration” as a national identity issue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popular historical writings/V.M.Tikhonov 學部 編纂 國語 敎科書와 修身 倫理 敎科書의 指示語에 대하여/佐野三枝子 “倭語類解”의 口訣과 그 쓰임에 대하여/정승혜
|
제4호
|
1998 |
문화구성체론으로 보는 민족문화의 동일성/김도종 조선반도남북문화의 공통성과 차이 및 통일의 과제/김경일 韓半島에서의 民族主體性 形成 過程에 관한 硏究/정영순 朝鮮封建내셔널리즘의 構造와 展開/변영호 김부식의 유교적사관과 문학세계/김예령 朝鮮 後期의 日本語 敎育과 倭學書/정승혜 大阪市 生野區 定住 在日코리안 一世의 日本語 運用/김미선
■서평 The Korean War, an unanswered Question/김문욱
|
제3호
|
1996 |
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新案/김복문 15세기 조선어 종결토에 반영되는 문법적범주에 대하여/렴광호 북과 남의 언어적차이를 없애려면/정순기 단군릉발굴과 그 력사적의의/최영식 한국인입장에서 본 헌팅튼교수의 문명충돌론/윤여민 두개 한국의 기원: 식민지 지주제와 공업화가 한반도 분단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/최배근 한국의 기독교와 통일의 정치/강위조 한사상과 민주주의 그리고 통일/김기항 조선족불교의 발전변화와 조선의 통일에 주는 계기/리광록 주체의 민족관/박승덕
■서펑 From State to Community: Rethinking S.Korean Modernization/M.W.Kim
|
제2호
|
1995 |
사회언어학으로 본 룡정시 소학교명칭의 변천상/장흥권 [-?(다)/-브(다)]계 접미사 고/강은국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없는 별 – 윤동주 시의 이미지 분석/장춘 Hamhyug:Symbol of Solidarity and Co-Operation between the GDR and the DPRK/Anne-Katrein Becker Trade Protectionism of the United States toward Japan and Korea/Robert W.McGee and Yeomin Yoon An Approach to the Analysis of Violence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Changing South Korea/Susana N. Vittadini Andres “Minjung” and “Shimin”:Vicissitudes of Two Political Terms in South Korea/Du Yul Song 일본불교의 조선진출과 和光敎團/윤정숙 1910년대 朝鮮의 書堂/古川宣子 문학적 생산양식과 민족의 문화주권/김도종
|
제1호
|
1994 |
주시경「말모이」의 底本에 대하여 /김민수 언어와 이념-국어사전의 경우- /김진우 료동에서의 조선민족의 활동에 대하여/엄성흠 Korean Dumping in the United States: A Fictitious Crime?/윤여민 Interdependence In Northeast Asia: The Role of North Korea i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/K.A.NamKung 한국공업화에 있어서의 국가·재벌관계와 “민주화” /고용수 新東亞時代의 韓國과 日本의 役割 /김진현 Korea 철학사 연구 제 문제에 관한 몇 고찰/헬가·피히트 한국음악문화의 사회적 특성 /이병원 리조전기과학기술사의 특징에 대하여/임정혁
■특집 <제2차 통일을 지향하는 철학> 주체적 민족관과 조국통일의 당면문제 /박승덕 조국통일과 인민대중의 주동적 역할 /강명철 전민족대단결은 우리 민족구원의 옳바른 길 /리천수 원불교의 상생철학과 통일관 /김영두 민족문제에 관한 철학적 전망 – 생산양식의 변동과 문화적 생산력- /김도종 통일을 지향하는 철학 – 민족의 공동체 의식과 화쟁사상 – /오형근 천도교의 평화관 – 조화사상과 관련하여- /노태구 남한의 그리스도교 신학은 겨레의 통일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? /송기득
|